夜はプリズムのファンタジ

tcl 2

3.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어)

오늘은 끊어졌던 부분을 완결하는 의미에서 DCL과 함께 짧게 TCL도 짧게 정리해두려고 한다. DCL은 Data Control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를 제어하는 SQL 언어'를 말한다. 특히, DCL은 트랜잭션(Transaction)을 제어하는데 특화된 몇가지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는데, 해당 명령어들만 모아서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즉,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SQL 언어'라고 한다. 결국, 세부적으로는 DCL이 TCL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DCL(데이터 제어어)의 종류 • GRANT (사용자 권한 부여) • REVOKE (사용자 권한 회수) ✔ TCL(트랜잭션 제어어)의 종류 • COMMIT (트랜잭션 작업 결과 저장 및 반영) • RO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대한 정리

SQL은 직역하면, 구조화된 쿼리 언어라는 뜻으로, Data를 쉽게 다루기(추가, 수정, 삭제 등) 위해 고안된 언어이다. 이러한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측면에서 다음의 역할들을 갖게 되는데, 하나씩 살펴 보자. 물론, 아래에 소개되는 부분들은 소개를 위한 일부분에 불과하다. 여러 함수와 키워드들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Data를 어렵지 않게 뽑아내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 SQL 분류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로서, Data나 Schema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한다.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여기에 속한다. 2.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로서, ..